자바 - JDK 다운로드 및 환경설정, 이클립스 다운로드 및 설정(글씨크기 조정, 인코딩 설정, JRE 버전과 JDK 버전 설정)

2023. 7. 1. 22:03자바/자바 정복

반응형

자바 개발환경 세팅

1) JDK 설치

2) JDK 환경설정

3) 이클립스 설치

4) 이클립스 구성 및 기본 설

 

이클립스 자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바가 깔려야 있어야 한다. 따라서 JDK를 먼저 설치하고 이클립스를 설치한다.

 

1) JDK 설치

- 오라클 사이트 접속(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downloads/)

- 그냥 오라클 사이트에서 검색창에 java를 검색하면 download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지금 가징 최신 버전의 LTS(Long Term Support)버전은 11이다.(나는 20버전 설치했는데 11로 하)

- 라이선스 동의 후 오라클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다운로드 하면된다.

- 다운로드 파일을 실행하고 계속 next를 눌러서 설치완료

- 따로 설치 경로를 안바꿨으면 C:\Program Files\Java 위치에 설치된다.

 

2) JDK 환경설정

- 나중에 톰캣을 깔아서 웹 개발을 하던가 JDBC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려면 얘네들이 JDK가 어디있는지 알아야하니 환경설정을 해줘야한다.

- 윈도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윈도우 시작 검색창에 '고급'이라는 단어를 치면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  메뉴를 볼 수 있다. 거기서 '환경 변수'를 클릭한다. 환경변수는 총 3개(JAVA_HOME, CLASSPATH, path)를 등록해준다.

- 위에는 '____에 대한 환경변수'라고 뜰거고 밑에는 '시스템 변수'라고 뜰거다. 위에 환경변수는 컴퓨터 로그인 사용자만 사용하는거고 밑에 환경변수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두가 사용하는거다.

- '새로 만들기'를 클릭해서 jdk폴더 경로까지의 경로를 JAVA_HOME으로 등록해준다.

- path 환경변수는 이미 등록이 되어있다. 여기에 java 파일의 bin경로를 입력해야 한다. path를 클릭 후 편집을 눌러준다.그리고 '%JAVA_HOME%\bin'을 넣어준다. JAVA_HOME이라고 이미 등록한 환경변수가 JDK파일 경로까지 나타내서 \bin만 붙이면 bin까지의 경로가 된다. bin이라는 폴더에 모든 실행파일이 있다.

- CLASSPATH는 시스템 변수에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 lib 폴더 경로를 넣어준다. 밑에 사진처럼 넣어줘도 되지만 '%JAVA_HOME%\lib'으로 등록해도 된다.

 

3) 이클립스 설치

- https://www.eclipse.org/downloads/  << 여기 접속해서 다운로드 한다.

- 설치 실행 파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Eclipse IDE for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s는 JSP와 같은 웹사이트를 톰갯과 연동해서 Dynamic Website를 만들때 사용한다. Eclipse IDE for Java Developers는 자바 프로젝트만 개발할때 설치한다. 나는 자바 프로젝트만 할거니 맨위에거를 설치하겠다. 설치를 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workspace 경로 설정하는 창이 뜬다.

 

앞으로 어느곳에서 작업할지 설정하는거다.

1번 영역은 패키지 탐색기 영역

2번 영역은 코드 편집기 영역 

3번 영역은 outline 영역

4번 영역은 console, Javadoc등 기타영역

 

글씨크기 조정

- 모든 조정은 Window - Preferences 메뉴에 들어가서 한다. 

- Preferences 메뉴에 들어가면 맨위에 Geneal , 또 맨위에 Appearance 또 맨위에 Colors and Fonts에 들어간다. 그럼 오른쪽에 Basic 폴더를 열어서 Text font를 클릭하고 Edit 버튼을 누른다.

- 그럼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 그냥 글씨 크기만 바꾸고 싶으면 [ ctrl ] +  [+]를 누르면 글씨가 커지고 [ ctrl ] +  [-]를 누르면 글씨가 작아진다. [+]와 [-]는 Backspace 키 왼쪽에 있는거만 가능하다.  글꼴중에서 Consolas가 모든 알파벳의 간격이 똑같아서 좋다. 얘를들어 I와 A 두 글자가 차지하는 간격이 다른데 Consolas는 간격이 같아서 맞추기 편하다.

 

텍스트 인코딩 설정

1) workspace 전체 인코딩 설정

- 기본적으로 Window는 인코딩 타입이 MS949로 되어 있을것이다. 근데 웹 서버는 기본적으로 UTF-8이다. 그래서 웹 상에 있는 글자를 가져와 사용하면 이클립스는 MS949 인코딩 타입이기 때문에 한글이 깨진다. 이클립스의 인코딩 타입을  UTF-8로 바꿔서 문제를 해결하자

- Window 메뉴에 Preferences로 설정 창을 연다.

- 그리고 General의 Workspace를 누르고 Text file encoding 설정하는 곳에 Other로 UTF-8을 선택해준다. Apply and Close를 누르면 끝

2) 특정 프로젝트 인코딩 설정

- 바꾸고자 하는 프로젝트 폴더를 우클릭으로 누르고 Properties를 클릭한다.

 - UTF-8로 설정하면 끝

JRE 버전 설정

- JRE 버전을 바꾸겠다는 것은 Java 프로젝트가 실행되는 JRE 실행환경을 바꾸겠다는 의미이다. 

- Window => Preference => Java => Installed JREs 로 간다. 기존에 jdk -20버전으로 되어있는데 11버전으로 바꿔보자. Installed JREs 목록을 보면 jdk 11은 없다. 그래서 Add를 눌러 추가해주자.

- Standart VM을 클릭하고 Next를 눌러준다.

- Diretory를 클릭하고 jdk 11 폴더를 클릭해 경로를 넣어준다.

- 그럼 Installed JREs에 jdk-11이 추가된걸 볼 수 있고 이것으로 바꾸기 위해 체크박스 표시 클릭후 Apply and Close하면 된다.

JDK 버전 설정

- JRE 버전 설정은 실행 환경을 바꾸준거다. JDK 버전 설정은 compile 되는 JDK 버전을 바꿔주는거다. 

- Window => Preference => Java => Compiler를 클릭해 jdk 버전을 클릭해 적용해주면 된다.

- 보통 JRE를 바꿔줬으면 compiler도 같은 버전에 맞추어 바꿔주는게 좋다. 물론 컴파일러 버전이 JRE 버전보다 낮기만해도 상관은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