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 출력

2023. 7. 5. 07:05자바/자바 정복

반응형

출력 규칙

- 문자열을 출력할때는 " " 안에 표기해야한다.

- 문자열과 합해지면 문자열로 출력

String + String = String     =>  문자열이 이어져서 출력

String + 기본자료형 = String  => 문자열과 기본자료형이 이어져서 출력 

기본자료형 + String = String  => 문자열과 기본자료형이 이어져서 출력

 

1) println() 메서드 : 괄호안의 내용 출력하고 줄바꿈

package thispack;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 : 괄호안의 내용 출력 하고 출바꿈
		System.out.println("실행됐다~~~~~~");
		System.out.println("실행"+"됐다~~~~~~");
		System.out.println(555);
		System.out.println(5+5+5);
		System.out.println("글씨"+ 5);
		System.out.println("글씨"+ 5 + "123");

	}

}

실형결과

2) print() 메서드 : 괄호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 안바꿈

package thispack;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 : 괄호안의 내용 출력 하고 출 안바꿈
		System.out.print("실행됐다~~~~~~");
		System.out.print("실행"+"됐다~~~~~~");
		System.out.print(555);
		System.out.print(5+5+5);
		System.out.print("글씨"+ 5);
		System.out.print("글씨"+ 5 + "123");

	}

}

실행결과

 

3) printf() 메서드 : 자료형 포맷에 따라 출력

package thispack;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f() : 자료형 포맷에 따라 출력
		// %d => 10진수
		// %o => 8진수
		// %x => 16진수
		// %s => 문자열
		// \n => 줄바꿈
		// %f => 실수 
		// %2.3f => 실수(소수점 앞에는 전체자릿수 이고 점 뒤에는 소숫점 자릿수이다.) 
		
		System.out.printf("%d\n", 11);//10진수
		System.out.printf("%o\n", 11);//8진수
		System.out.printf("%x\n", 11);//16진수
		System.out.printf("%s 문자열이닷\n", "나 문자열임??");
		System.out.printf("%f 실수닷\n", 3.14);
		System.out.printf("%4.2f 실수닷\n", 3.142132131);
		System.out.printf("나의 이름은 %s이고 나이는 %d살이다.", "둘리", 100);

	}

}

실행결과

반응형